반응형
1. 몰약
몰약(Myrrh)은 고대부터 약용 및 향료로 사용되어 온 **수지(樹脂, 수액이 굳은 것)**이며, 주로 아프리카 북동부 및 중동 지역의 Commiphora 속 나무에서 채취됩니다. 한방, 아유르베다, 아로마테라피, 현대 약학에서도 다양하게 활용되어 왔습니다.
원산지는 아프리카 북동부 (소말리아, 에티오피아), 아라비아 반도이고 추출부위는 Commiphora 나무 껍질에서 나오는 수지입니다. 향은 쌉싸름하고 진한 향 (따뜻하고 약간 스모키함)
사용 형태
- 몰약 가루 – 한방 처방, 캡슐 등
- 몰약 오일 (에센셜 오일) – 아로마, 마사지, 연고에 사용
- 몰약 추출물 – 구강용품, 화장품 성분
- 연소형 몰약 (향) – 종교 의식, 명상 등에서 사용
추천 복용 목적
- 만성 염증(위염, 관절염 등)
- 잇몸 질환이나 구강염
- 장내 가스, 소화불량
- 가벼운 감기 증상
2.효능
1. 항염 및 항산화 작용
- 몰약은 테르페노이드, 세스퀴테르펜, 페놀 성분 등을 포함하여 염증 억제 및 조직 재생에 도움이 됩니다.
- 구강염, 인후염, 잇몸 염증 등에 효과적이라 치약, 가글에도 사용됩니다.
2. 항균 및 항바이러스 효과
- 몰약 추출물은 세균, 곰팡이, 바이러스를 억제하는 기능이 있어, 감염 방지에도 사용되었습니다.
- 상처 소독용 연고에 포함되기도 합니다.
3. 위장 건강
- 고대 이집트와 한의학에서 소화불량, 위경련, 장내 가스 등을 완화하는 데 사용되었습니다.
4. 아로마/심신 안정
- 에센셜 오일 형태로 쓰일 때는 스트레스 완화, 심신 안정, 기도명상 시 사용되었습니다.
- 중동과 아프리카 지역에서는 영적인 정화 의식에 사용되기도 합니다.
주의사항
항목내용
🚫 임산부 금지 | 자궁 수축 가능성 있으므로 임신 중 사용 금지 |
❗ 다량 섭취 주의 | 과다 섭취 시 간에 무리가 갈 수 있음 |
💊 약물 상호작용 | 혈액응고 억제제, 당뇨약과 상호작용 가능성 있음 |
👶 어린이 사용 주의 | 직접 섭취보다는 외용으로만 사용 권장 |
3. 사용법
1. 몰약 분말(가루) 섭취
- 방법: 소량(약 100~200mg)을 꿀이나 따뜻한 물에 섞어 먹습니다.
- 빈속은 피하고, 하루 1~2회 이하가 적당합니다.
- 예시:
몰약 가루 100mg + 꿀 1작은술 + 따뜻한 물 100ml
2. 몰약 캡슐 / 정제 (건강보조식품 형태)
- 시중 건강기능식품으로 나온 제품을 복용하는 것이 가장 안전합니다.
- 복용량은 제품마다 다르며, 보통 하루 12g을 500ml에 타먹는 것이 적당합니다.
- 복용 전후 최소 30분 식간 섭취 권장합니다.
3. 몰약차 (Myrrh tea)
- 방법: 몰약 조각 12g을 500ml 물에 넣고 10분 이상 약불로 끓인 후 마십니다.
- 맛이 강하므로 계피, 생강, 꿀 등을 넣어 조절할 수 있습니다.
- 하루 1컵 이하로 제한합니다.
몰약(Myrrh)은 특유의 쓴맛과 약성을 지닌 약재이기 때문에, 함께 먹을 때는 위장을 보호하거나, 흡수를 도와주고, 맛을 중화시켜줄 수 있는 음식들과 궁합이 좋습니다.
몰약과 함께 먹으면 좋은 음식/재료
1. 꿀
- 역할: 몰약의 쓴맛을 중화하고 위 점막 보호합니다.
- 복용 예시:
- 몰약 가루 소량 + 꿀 1작은술 + 따뜻한 물
- 몰약차에 꿀을 첨가해 마시기
2. 생강
- 역할: 위장 강화, 염증 완화, 몰약과 함께 항염 상승 효과가 있습니다.
- 복용 예시:
- 몰약차에 생강 슬라이스 1~2개 추가
- 몰약 생강차로 감기나 기침에 도움을 줍니다.
4. 부작용
몰약(Myrrh)은 강한 약리작용이 있어 건강에 도움을 줄 수 있지만, 부작용도 꽤 강할 수 있기 때문에 주의가 꼭 필요합니다.
1. 위장 자극
- 증상: 속쓰림, 위통, 메스꺼움, 설사
- 이유: 몰약은 위 점막을 자극할 수 있음
2. 자궁 수축 유도
- 증상: 복통, 생리통 악화
- 이유: 몰약은 전통적으로 자궁 수축 작용이 있어 임산부나 생리 중 여성은 절대 복용 금지
3. 혈액 응고 지연
- 증상: 멍이 잘 들거나 출혈이 멈추지 않음
- 이유: 항응고 작용(피를 묽게 함)이 있어 출혈성 질환자나 수술 전후에는 복용 금지
4. 간·신장 부담
- 증상: 간 수치 상승, 피로감
- 이유: 고용량 복용 시 간이나 신장 대사에 부담
반응형